정보 나눔

에어비앤비 호스트 수익 | 에어비앤비 개인실 호스팅 1년 수익

chippyy 2023. 6. 1. 11:01

이 블로그 글을 찾아오신 분들은 아마 에어비앤비 호스팅을 고민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어서 찾아오셨을 거라고 생각이 되는데요, 에어비앤비 호스팅을 고민하실 때 아마 이게 수익이 얼마나 될까? 라는 궁금중이 제일 크실 것 같아요. 결국 2년 장기임대로 월세를 주는 게 낫냐, 아니면 청소비나 부대 비용 조금 부담하면서 에어비앤비를 받는 게 낫냐의 문제이니까요.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저의 개인적인 호스팅 경험, 수입 데이터를 공유해드리고 결론적으로 개인실 호스팅을 추천하는지에 대해 적어볼게요!

 

 wontheland의 에어비앤비 호스팅 히스토리
  • 2019년에 처음 에어비앤비 호스팅을 시작, 코로나 기간에는 운영 중지하다가 2022년 4월부터 재개해서 3년째 호스팅 중
  • 게스트가 호스트와 공간을 공유하는 개인실을 여성 전용으로 운영 중
  • 리뷰 4.95/5 로 슈퍼호스트 1년째 유지 중

 

저의 간략한 에어비앤비 호스팅 히스토리는 그렇고요, 에어비앤비 수익을 공개하겠습니다.

 

 

에어비앤비 개인실 호스팅 수익

22년 5월에 다시 에어비앤비를 시작하고 난 후로 23년 5월까지의 수입입니다. 총 13개월 동안 에어비앤비에서 수령한 수입은 1천만원 정도 (10,697,907원)입니다. 모든 달에 동일하게 받았다고 생각하면, 한달에 평균적으로 82만원 정도씩 수입이 났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.

 

 

월별로 보면 많이 나오는 달은 최대 100만원까지, 적게 나오면 60만원 정도의 수입이 나옵니다.

월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는 숙박 수요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(겨울 비수기에는 숙박이 적은편: 12월~1월), 1박짜리 단기 숙박만 받느냐 vs 4-5박 장기숙박이 있느냐의 영향도 큽니다. 4-5박 장기숙박이 들어오면 한번에 거의 25~30만원 정도가 들어오니 수입이 꽤 커지죠. (참고로 저는 2022년에는 개인실 1박당 금액을 33,000원 정도로 설정 했었고 2023년에는 42,000원으로 설정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.)  

 

 

위에 보시는 건 에어비앤비에서 지급받는 "수입" 전체이고, 수입에서 인건비/부대비용 등을 제외한 "수익"을 따로 구분해서 적지는 않았는데, 그 이유는 인건비를 제외하고는 부대비용이 거의 들지 않기 때문입니다. 인건비도 저와 가족들의 인건비라 따로 사람을 고용하는 게 아니라 현금 지출은 없기 때문이죠. 숙소 사용으로 드는 전기세/수도세 등의 공과금도 있긴 하나 사실 개인실이기 때문에 미미한 수준이고, 어쨌거나 가족들이 사는 공간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공과금은 지출하게 되어 있어 이 부분은 크게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.

 

 

그러면 결론적으로 에어비앤비 개인실 호스팅을 추천하는가? 에 대한 견해를 공유 드리자면, 저는 완전 추천입니다.

이유는 원래 월세 또는 임대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운 공간인데, 그 공간을 활용해서 꽤 괜찮은 수입을 낼 수 있기 때문이죠. 게스트 단독 공간이라면 월세 vs 에어비앤비라는 고민을 할 수도 있겠지만, 위에서 말씀 드렸듯 저는 가족들과 공간을 공유해야 하는 집의 방 하나를 개인실로 호스팅하고 있습니다. 원래 월세로는 임대를 하기가 아예 힘든 공간이죠. 그런데 이 방을 호스팅하면서 최소 60~100만원의 월세 수입이 생긴 것과 다름 없습니다. 저희 건물에 세입자들에게 세를 주는 다른 원룸은 1000/50 이 정도라서 월세가 50밖에 안 나오는데.. 원룸 보다도 더 작은 개인실로 더 많은 수입을 창출하고 있습니다.

 

물론 에어비앤비를 하면서 신경써야 하는 부분들 (게스트룸 청소, 공용공간 공유 등)과 이로 인한 불편함이 있으나 막상 해보니 불편함이 그렇게 크지 않고, 이 불편함을 상쇄할 정도로 수입이 괜찮게 나온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ㅎㅎ

 

 

에어비앤비 개인실 호스팅을 고민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,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친절히 도와드리겠습니다!